교무실 소속 교육공무직원의 인사관리에 경남도교육청의 직접적인 행정지도가 필요하다는 경남도교육청공무원노동조합(경남교육노조)의 요구에 박종훈 교육감이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경남일보 7월 24일자 4면 보도) 박 교육감은 4일 오전 열린 월요회의에서 “저는 교육자치를 존중하는 사람이다”라고 말문을 연 뒤 “교육청에서 결정해야 될 사안들 중에서도 되도록이면 학교 스스로가 결정할 수 있는 것은 학교의 자치력에 맡기려고 하는 것이 저의 중요한 가치와 철학”이라고 말했다. 이어 “학교 안 논쟁들에 되도록 개입하지 않으려고 했던 것은 학교가 가지고 있는 자치 역량을 믿기 때문”이라면서 “자칫 잘못된 결정을 하는 한이 있어도 그것이 사회적 합의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면 그것은 상부 기관의 행정력에 의한 결정보다 더 낫다라는 것이 저의 철학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문제(교무실 소속 교육공무직원의 인사관리 업무)는 학교장의 업무 분장에 관한 권한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분명히 선을 그어 말했다. 그는 “(노조가)지속적으로 요구한다면 교육감이 행정명령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그 결정은 지금 노조가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결정이 될 수도 있다는 점도 함께 말씀드리면서 이 문제가 원만하게 해결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전했다. 경남교육노조는 지난달 23일 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교육청의 방관 탓에 교무실 소속 교육공무직원의 인사관리 업무분장 혼란이 일선 학교 현장에서 반복되고 있다”면서 교육당국의 조속하고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당시 진영민 노조위원장은 “경남교육청은 대체인력 채용이나 근무성적 평정과 같은 학교 현장의 교육공무직원 인사관리 업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교무실 인력은 교무실에서, 행정실 인력은 행정실에서 책임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강력한 행정지도에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김성찬기자 kims@g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