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투위, 공무원보수위 회의와 동시에 광화문서 결의대회 "정당한 보상 필요…공무 위해 임금 걱정 없어야"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가 30일 서울 광화문 서십자각터 앞에서 개최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간부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6.30/뉴스1 ⓒ News1 김형준 기자 (서울=뉴스1) 김형준 기자 = 공무원·교원단체들이 정부의 일방적 희생 강요로 생존 위기에 내몰렸다며 내년도 공무원 임금을 6.6% 인상할 것을 촉구했다.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30일 오후 서울 광화문 서십자각터 앞에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간부결의대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집회에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등으로 구성된 공투위 구성원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집회는 내년도 공무원 임금을 결정하는 공무원보수위원회가 제1차 전체회의를 개최하는 시점에 맞춰 열렸다. 공투위는 공무원보수위 교섭 요구안으로 △2026년 공무원 보수 6.6% 인상 △정액급식비 월 3만 원 인상 △6급 이하 공무원 직급보조비 3만 5000원 인상 △초과근무 단가 인상 △정근수당 10% 인상 △명절휴가비 지급액 60%에서 70%로 인상 등을 제시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임금 6.6% 인상하라" "점심 한 끼 6360원이 웬 말이냐, 정액급식비 인상하라" 등 구호를 외치며 처우 개선을 요구했다. 석현정 공노총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국가는 국가답게 사용자로서 책임 있게 행동하길 요구한다"며 "공무원 임금은 국가의 국격이며 공무원도 정당한 보상을 위해 일할 권리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투위가 제시한 인상률 6.6%는 2026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1.6%와 소비자물가지수 전망치 1.8%를 감안하고 공무원보수 민간접근율 100%를 5년간 달성하기 위한 인상 값 3.2%를 합한 수치다. 현재 공무원보수 민간접근율은 83.9%다. 정액급식비는 현행 월 14만 원에 책정돼 있다. 근래 식당 물가 인상 등으로 식대가 부족해 공무원들의 사기가 저하된다며 식대를 3만 원 올려야 한다는 게 공노총 측 주장이다. 앞서 공투위는 지난 19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도 '공무원 임금인상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OECD 평균 정부 총지출 대비 공무원 인건비 비중이 10.7%인 것에 비해 한국은 2018년 8.3%에서 2025년 6.9%까지 축소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는 윤석열 정부의 '작은정부'를 폐기하고 공공행정과 공공부문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열린 공무원보수위 전체회의는 1차 회의였던 만큼 세부적인 논의를 위한 소위원회 일정을 잡는 선에서 마무리된 것으로 전해졌다. 박중배 공무원보수위 노조 대표단 대표는 "최근 10년간 최저임금은 평균 6.13% 올랐으나 공무원 임금은 평균 2.3% 인상으로 갈수록 차이가 나고 있다"며 "국가에서 최소 부양가족의 생계 걱정을 하지 않도록 인건비 예산을 늘려 공무원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교섭 요구안을 정부는 전향적으로 받아들여 중도 퇴사 공무원을 줄이고 공무원이 임금 걱정 하지 않고 공무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